안드로이드를 사용하다보면 build.gradle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build.gradle의 경우에는 크게 app 레벨의 build.gradle, project단위의 gradle로 나뉘어져 있고,
해당부분은 안드로이드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가장 많이 바뀐 부분은
app단의
dependencies 부분이며, 해당부분은 예전 버전에는 complie 을 사용하여 complie '사용할 이름' 과 같은 형태로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implementation을 사용하게끔 권장된다. 다음과 같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동작하지 않거나 warning 메시지를 볼수 있다.
또한 가장 많이 사용하는 google-service의 경우 이전버전에서는 dependencies에 넣어 각 버전별로 호출하여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gradle 파일의 최하단에
apply plugin: 'com.google.gms.google-services' 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
프로젝트 단의 build.gradle파일의 경우
classpath를 통하여 android tool과 google service 를 지정해주고 repositories에서 google()과 jcenter()를 사용하면 여러 라이브러리들을 import 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 안드로이드 Meth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안드로이드] 언어별 strings.xml 폴더 사용법 (0) | 2020.09.22 |
---|---|
[Android/안드로이드] SharedPreferences 사용법 (0) | 2017.11.21 |
[Android/안드로이드] Unable to recognize OLE stream xls (엑셀) 에러 (0) | 2017.11.16 |
[Android/안드로이드] 외부저장소 절대 경로 찾기 / getAbsolutePath() / 폴더 생성 (1) | 2017.11.09 |
[Android/안드로이드] WebView 새로고침, 앞, 뒤, 불러오기 (0) | 2017.11.08 |